VOL.60 현대 디자인의 시작, 바우 하우스

조회수 3676

썸네일: made for BAUHAUS 100 International Poster Campaign <100 years of Bauhaus>

출처 :Tim Smirnov




VOL.60  현대 디자인의 시작, 바우 하우스 


오늘의 아트레터는 현대 디자인의 탄생과 혁신의 공간인 독일의 바우 하우스입니다.


“건축 속에서 조각, 회화, 공예 등 모든 장르가 통합되어야 한다.”

 – 발터 그로피우스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 ©Wikipedia


 


발터 그로피우스는  바우 하우스의 창립자이며 근대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세계의 건축가 중 한 명인 그로피우스가 건축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예술을 실현하기 위해 건립한 독일의 디자인 학교, 

바우 하우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보고 들어가는 키워드 ✔


1. 바우 하우스의 창립자 

바우하우스의 창립자이며 근대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발터 그로피우스는 그가 이끈 바우하우스에서 실시한 교육의 이념을 '건축가와 디자이너가 재료와 제조공정에 실제적인 기능훈련을 경험하게 한다'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이론적 가르침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기술과 재료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2. 디 스틸(de stijl)

디 스틸은 제1차 세계대전이 마무리되던 시기,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움직임은 지적인 화가와 건축가들이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시각적 환경을 협력하여 창조하고자 한 협동 미술의 산물이었습니다.


3. 바우 하우스의 교수진들

바우하우스의 교수진으로는 스위스 화가 요하네스 이텐, 독일계 미국인 화가 라이오넬 파이닝어, 독일 조각가 게르하르트 마르크스, 독일 화가, 조각가, 디자이너인 오스카 슐레머, 러시아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 스위스 화가 파울 클레, 러시아 구성주의 화가이자 건축가 엘 리시츠키 등이 있었습니다.


디 스틸(de stijl)

  

바우 하우스 디자인 이념에 영향을 주었던 당시의 미술운동으로는 디 스틸(de stijl)을 언급할 수 있는데요, 이 미술 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지성적인 화가와 건축가들이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시각 환경을 창조하고자 하여 시작한 협동 미술이었습니다. 

디 스틸은 합리주의적, 기계적, 추상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하나의 단일한 결과, 즉 건축으로 완성한 디자인 운동이었습니다.


바우 하우스, ©Britannica 


 

디 스틸 운동의 영향이 가장 직접적으로 미친 곳은 바우 하우스라고 할 수 있는데요, 1922년 디 스틸 그룹의 결성과 이론체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테오 반 되스브루그가 바우 하우스를 방문했고 기하학적 형태와 비대칭적 구성 등의 그의 이론은 학교 조형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926년 그로피우스가 완성한 바우하우스 건물은 이 성격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 건물 외부의 네모난 입체의 형태, 수직. 수형적 배열, 비대칭적 균형에 의한 평형상태, 외부와 내부의 결합 등은 디 스틸 운동의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시 바우 하우스뿐만 아니라 독일의 공동 주택과, 도시개발의 개념 역시 디 스틸에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바우 하우스의 교수진들 


바우 하우스의 교육의 목적은 생활과 예술의 결합이라는 조형이념을 교육적으로 실천하는 데 있었습니다. 특히 현대 디자인 교육에 미친 중요한 교육적 특성은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조형 감각을 가르치는 기초 조형 교육(preparatory instruction)에 있었습니다. 이는 바우 하우스의 전 과정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과정이었습니다. 기초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잠재적인 창조력을 찾아내어 그것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했는데요, 교장인 그로피우스는 기초 조형 교육과정을 3단계로 구분했습니다. 


1926년 바우 하우스 교사 옥상에 모인 교수진 모습, 1926, ©listal


첫 번째는 학생의 인식에 기초한 작품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학생들의 직업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초 훈련을 통해 각자에게 적합한 조형 분야를 찾아내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세 번째는 학생들에게 형태와 색채에 대한 기본 원리를 교육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우 하우스 설립 초기 기초 조형 교육은 이텐이 담당하고 그에 의해서 확립되었는데요, 이후 모홀리-나기, 바실리 칸딘스키, 파울 클레 등 수많은 교수진들이 있었습니다.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 ©Wikipedia


 먼저 요하네스 이텐은 색채론과 구도론, 그리고 거장들의 회화 구성법과 명암법을 배우며 이전의 아카데믹한 방법과는 다른 미술교육법을 습득했습니다. 

 바우 하우스에서 이텐의 수업방식은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는데요, 그는 점, 선, 면, 조각 ,입체  ,비례 , 질감 등 조화로운 생활의 반복은 모두가 율동의 주체가 되며 모든 힘은 율동적인 것과 관계한다는 생각에서 율동에 관한 연구를 과목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이텐은 학생들을 행진곡이나 왈츠의 율동을 체험하게 하고 이러한 율동에 맞추어 그림을 그리는 연습을 반복하게 하였습니다. 동시에 창조력과 기술은 무엇보다도 학생들 스스로 자유롭게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전인격적 교육을 그의 모토로 삼았습니다. 그는 이러한 교육적 신념을 바탕으로 바우하우스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라즐로 모홀 나기(Laszlo Moholy-Nagy), ©Wikipedia


모홀리-나기는 바우하우스로 영입되면서 바우하우스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는데요, 사람들보다는 기계들 사이에서 더 편안함을 느꼈던 모홀리 나기는 기존의 교수들과는 전혀 다른 교수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학생들에게 기법, 재료들을 합리적이고 실용성 있게 쓸 것을 강조했고 이젤 그림이나 조각품 대신 새로운 테크닉과 매체로 눈을 돌려 시각과 마음을 개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바우하우스에서 새로운 매체에 관한 교육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는데요, 특히 사진을 다른 사진과 결합한 포토 몽타주를 시도하며 문자와 사진을 결합한 타이포 포토라는 새로운 시각 언어를 창조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바우 하우스가 나치에 의해 강제 해산되면서 바우하우스의 정신을 모홀리-나기가 이어 미국 시카고로 이주해 이곳에서 뉴 바우 하우스(New Bauhaus)를 열어 미국의 디자인과 사진의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라즐로 모홀로-나기(Laszlo Moholy-Nagy),behind the back of the gods, 1928


라즐로 모홀로-나기(Laszlo Moholy-Nagy),  lsm, 1922-1930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Wikipedia


칸딘스키는 바우하우스의 교수 초빙을 수용하고 바이마르(Weimar)로 이사를 했습니다. 1919년에 그로피우스가 미래의 종합예술을 지향하는 높은 이상을 내걸고 바이마르에 창설한 종합 조형학교 겸 연구소라고 할 수 있는 바우하우스의 이상은 칸딘스키의 오랜 꿈이기도 했는데요, 회화뿐 아니라 공예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며 그로피우스를 도와서 부교장직에 취임하기도 했습니다.  이곳에서 칸딘스키의 옛 친구 파울 클레(Paul Kleem, 1879-1940)와 재회하고, 이후 오랫동안 우정을 이어나갔다고 합니다.



칸딘스키는 바우 하우스에서 일명 추상미술과 추상의 장식적인 기능의 통합을 시도하는 실험적 교육을 시도했습니다.

그가 사용한 기하학적 모양들 즉, 사각형, 마름모, 원, 격자문의, 선 그리고 꼬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기하학적 표현 양식은 상당히 매력적이고 구성적인 우아함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칸딘스키는 바우 하우스에서 학생들에게 추상적인 형태 요소와 그림을 분석하는 분야를 가르쳤습니다. 

 





Wassily Kandinsky, « Point et ligne sur plan », trad. de l'allemand par Suzanne et Jean Leppien, Paris, Gallimard, 1991.


이후 그는 대표작 <점, 선, 면(poing, line to plane)을 출판했는데요, 이 책은 바우하우스 교수 시절 썼던 책으로, 회화의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한 표현적 가능성에 대한 칸딘스키의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면서, 기본적인 조형 요소를 예술 표현으로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상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으로서 최종적 형태를 제시하면서 ‘비대상적’ 회화의 구성법을 규정했습니다. 







 파울 클레(Paul Klee), ©아트인사이트


 파울 클레는 독일 음악교사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많았는데요, 1920년 그로피우스는 클레를 바우하우스 마이스터에 임명하여 ‘실용 작곡 코스’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이후 기초 과정의 필수 요소인 형태에 대한 이론 과정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자연만물이 유래한 기본적인 형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색채, 형식, 형상, 기법 등을 훈련시켰으며 학생들에게 형상 제작의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바우 하우스의 영향


바우 하우스는 오늘날뿐만 아니라 당시에도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교육과정 중 기초 교육은 당시 독일 내의 미술 아카데미나 미술 공예학교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바우하우스 교수들이 미국으로 망명함으로써 미국에도 파급이 되었습니다. 



일리노이 공과대학,  ©Wikipedia



아트 센터 스쿨, ©Wikipedia


현재 미국에서는 일리노이 공과대학 디자인과를 비롯하여 로스앤젤레스의 아트 센터 스쿨(The Art Center School)이나 디트로이트 교외의 크랜브룩 미술학교(Cranbrook Academy of Art)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학교의 상당수는 바우 하우스를 모방하여 기초과정과 전문과정을 나누어 두고 있습니다. 


또한 바우 하우스 시절의 회고전이 전 세계적으로 개최되었는데 이는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아프리카, 호주, 아시아, 남아메리카 등의 각지에서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고 합니다. 일본의 경우 이미 1930년대부터 바우하우스의 작품이 전시되었고, 일찍이 바우하우스의 이념을 수용해 건축과 공예 디자인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시켰습니다.


미국에서 바우 하우스의 영향은 실용 디자인뿐만 아니라 모든 예술교육 및 일반교육에 까지도 파급되었는데요, 이는 뉴욕 근대 미술관을 비롯한 다른 박물관 및 미술협회의활동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바우 하우스 미러> 전시 전경, ©서울디자인재단


한국에서의 바우하우스 영향을 간단히 살펴보면 한국 현대 디자인의 초기 단계를 형성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공헌한 주요 인물들은 대부분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 일본에서 유학했으며, 해방 후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들에 의한 한국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1945년 이화여자대학교의 예림원 안에 미술학과가 개설되고, 같은 해 국립서울대학교 예술대학에 <응용미술과>가 설립되었으나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극소수만 배출하였습니다. 그 후 1958년부터는 각 대학의 미술대학에 <공예과>가 신설되어 디자인 교육의 장이 확대되었습니다.




김세중, <바우하우스 풍경>, 2019, ©서울디자인재단


당시 금속, 섬유, 재료학 등은 화학계통의 교수들에 의해 지도되었는데요, 이렇듯 재료학에 대한 비중이나 전공과목에 전문기능인을 두어 교수의 수업을 보조하도록 편성한 부분은 바우하우스의 교육 과정에서 차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예 작업장을 설치하여 도자기, 목칠, 금속 공예 등의 실습 시설을 갖추어 학교 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했는데 이것은 바우하우스의 교육 이념에서 강조한 제 조형분야의 통합적 실현이라는 점과 부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현대 디자인의 탄생을 주도해 온 독일의 바우하우스와 그 주요 교수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떠셨나요? 

아팅이는 한국의 미술대학도 바우 하우스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정말 신기했어요 ! 


오늘의 레터가 현대 디자인의 시작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길 바라며, 

요약과 함께 오늘의 레터를 마칩니다! 



오늘의 아트레터 내용 요약


1. 발터 그로피우스는 바우 하우스의 창립자이며 근대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 그로피우스는 학생들이 단순히 이론적 가르침이 아니라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기술과 재료에 대한 이해를 강조했습니다.

3. 디 스틸은 바우하우스 디자인 이념에 영향을 주었던 미술 운동으로 합리주의적, 기계적, 추상적 접근방법을 통합하여 건축으로 완성한 디자인 운동이었습니다. 

4. 교장인 그로피우스는 기초 조형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5. 이텐은 바우 하우스 설립 초기, 기초 조형 교육을 담당했는데요 그는 창조력과 기술이 학생들이 스스로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6. 모홀리-나기는 기존의 교수들과 다른 교수법을 사용했습니다. 특히 포토 몽타주와 타이포 포토를 사용해 새로운 시각 언어를 창조했습니다.

7. 칸딘스키는 추상 미술과 추상의 장식적인 기능의 통합을 시도했습니다. 또한 교수 시절,  <점, 선, 면>을 출판했습니다. 

8. 파울 클레는 자연만물이 유래한 기본적인 형태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9. 현재 일리노이 공과대학 디자인과와 로스앤젤레스의 아트 센터 스쿨 등은 바우 하우스를 모방하여 기초 과정과 전문과정을 나누어 두고 있습니다. 

10. 한국에서의 바우 하우스 영향은 한국 현대 디자인의 초기 단계를 형성시키는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1 2